명예·신용·사생활 침해 범죄
본문

명예, 신용, 사생활은 헌법상 보호되는 인격적 법익으로, 타인의 평판을 훼손하거나 사적인 정보를 무단으로 유포하는 행위는 형사처벌의 대상이 됩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허위사실 유포 등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행위의 경중에 따라 형사처벌뿐 아니라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도 발생하며, 피해자와 피의자 모두 법률적 대응이 중요합니다.
명예훼손죄
공연히 사실 또는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성립하며, 오프라인·온라인 모두 적용됩니다.
구성요건 | 사실의 적시 + 공연성 + 명예훼손 |
법조문 | 형법 제307조 |
처벌 수위 | 사실적시: 2년 이하 징역 / 허위사실: 5년 이하 징역 |
비방 목적 | 정보통신망법 위반시 가중처벌 가능 |
모욕죄
구체적 사실 없이 사람을 경멸하거나 인격적 비하 표현을 사용한 경우 성립하며, SNS, 댓글 등 온라인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구성요건 | 공연성 + 경멸적 표현 |
법조문 | 형법 제311조 |
처벌 수위 | 1년 이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 벌금 |
구체적 사실 여부 | 없어도 성립 가능 (사실적시 불필요) |
정보통신망 이용 명예훼손
인터넷, SNS 등 정보통신망을 통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가중처벌됩니다.
법조문 | 정보통신망법 제70조 |
사실 적시 |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 |
허위사실 적시 |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 |
비방 목적 | 명백할 경우 성립 |
개인정보 유출 및 무단 수집
타인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 유출, 제공하거나 목적 외로 이용할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의해 처벌됩니다.
개인정보 정의 | 성명, 주민번호, 연락처, 위치정보 등 |
관련 법률 |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
주요 위반 | 동의 없는 수집, 저장, 제공, 유출 |
처벌 수위 |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 |
신용훼손죄
허위사실을 유포하여 타인의 경제적 신용을 떨어뜨릴 경우 형사처벌 대상이 되며, 상거래 분야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구성요건 | 허위사실 + 공연성 + 신용 저하 |
법조문 | 형법 제313조 |
처벌 수위 | 5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
예시 | 부도 유도, 채무불이행 허위 유포 |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신문, 방송, 온라인 뉴스, 블로그 등에 사실 또는 허위 사실을 기재해 명예를 훼손한 경우 형법 제309조에 따라 가중처벌됩니다.
구성요건 | 출판물, 라디오, 인터넷매체 통한 명예훼손 |
법조문 | 형법 제309조 |
처벌 수위 | 허위사실: 7년 이하 징역 |
공익 목적 판단 | 진실 + 공익 목적일 경우 위법성 조각 가능 |
형법상 위법성 조각사유
공공의 이익을 위한 사실적시는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으며, 이는 언론 보도, 시민제보 등에서 주요하게 작용합니다.
진실성 | 사실이어야 하며 허위일 경우 적용 안 됨 |
공익성 | 사적 공격 목적이 아닌 경우 |
기타 사유 | 비방 목적이 없을 때 |
법원 판단 | 전체 정황에 따라 위법성 여부 판단 |
피해자 구제 수단
피해자는 형사 고소 외에도 명예회복과 손해배상을 위해 민사소송, 가처분, 정정보도 청구 등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형사 고소 | 명예훼손, 모욕, 개인정보 유출 등 대상 |
민사소송 | 위자료 청구 가능 (불법행위) |
삭제 요청 | 포털 및 게시판 관리자에 삭제 신청 가능 |
가처분 | 긴급하게 명예 훼손 게시물 차단 가능 |
가해자 방어 전략
형사 피의자로 지목된 경우 진실성 입증, 공익 목적 소명, 비방 목적 부인 등이 주요한 방어 전략이 됩니다.
공연성 부인 | 제3자에게 전파되지 않았음을 소명 |
진실성 입증 | 사실 적시가 객관적 자료에 기초했음을 주장 |
비방 목적 부인 | 개인의 공익 추구 목적 강조 |
화해 또는 합의 | 피해자와의 합의는 선처 요소로 반영 |
온라인 플랫폼 대응
인터넷 명예훼손 사건의 경우 해당 플랫폼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며, 포털 신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소 등이 가능합니다.
포털 신고 | Naver, Daum 등에 명예훼손 신고 접수 |
방심위 심의 | 명예훼손 및 음란물 등 판단 가능 |
사이버 명예훼손 | 특화된 전문 대응 필요 |
삭제 및 차단 | 법적 근거 갖춘 요청이 필요 |
관련 법률 서비스
명예훼손, 모욕, 개인정보 유출 등은 민형사 병행이 필요한 사안입니다. 형사방어와 피해자 구제 모두에서 법률 전문가의 조력이 큰 역할을 합니다.
피해자 법률대리 | 형사 고소, 삭제요청, 민사소송, 가처분 |
피의자 형사방어 | 진실성·공익 목적 소명, 위법성 조각 주장 |
명예 회복 소송 | 정정보도 청구, 손해배상청구 |
플랫폼 대응 | 포털 및 커뮤니티 게시물 삭제 대리 |
-
Previous Post
June, 20 2025
공공질서 관련 범죄 「위증, 무고, 위조, 공무집행방해 등」 -
Next Post
June, 18 2025
재산범죄 「절도, 강도, 사기, 공갈, 횡령, 배임, 손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