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간자 관련 소송
본문

상간자 관련 소송은 혼인관계 중 배우자 외의 제3자가 부정행위를 저지른 경우, 그 상간자에게 정신적 손해에 대한 위자료를 청구하는 민사소송입니다. 이는 가정의 평온과 혼인생활을 침해한 것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묻는 절차이며, 혼인관계 유지 여부와 상관없이 제기할 수 있습니다. 입증책임, 시효, 상대방의 귀책 여부, 증거 확보 등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사건입니다.
상간자 소송의 법적 근거
상간자에 대한 위자료 청구는 민법 제750조의 불법행위 책임에 기초하며, 혼인 파탄의 책임을 함께한 제3자에게 정신적 손해배상 책임을 묻는 제도입니다.
법적 성질 | 민사상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
근거 조항 | 민법 제750조(불법행위), 제751조(정신적 손해) |
혼인 파탄 요건 | 혼인 중 부정행위가 있었는지 여부 판단 |
상대방의 인식 | 상간자가 혼인 중임을 알고 있었는지 여부 중요 |
소송 제기 요건
상간자 소송을 제기하려면 부정행위 사실이 존재하고, 상간자가 배우자가 있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정신적 손해가 발생했음을 주장해야 합니다.
혼인 중 부정행위 | 법률혼 상태에서 제3자와의 성적 관계 |
인식 요건 | 상간자가 상대방이 기혼자임을 인지한 경우 |
정신적 손해 |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인한 고통과 피해 발생 |
혼인관계 실재성 | 형식적 혼인이 아닌 실질적 혼인생활 여부 중요 |
위자료 금액 기준
상간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위자료는 정해진 법정금액이 없으며, 혼인 기간, 자녀 유무, 부정행위 기간, 고통의 정도 등에 따라 법원이 판단합니다.
평균 위자료 | 통상 500만~3,000만 원 수준 |
혼인 기간 | 혼인 기간이 길수록 위자료 증액 가능 |
자녀 유무 | 미성년 자녀가 있을 경우 위자료 인정 폭 증가 |
반복성·은밀성 | 장기적, 계획적 부정행위일수록 책임 무거움 |
입증자료와 증거 수집
상간자 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부정행위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입니다. 간접 증거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으나, 명확성과 적법성이 중요합니다.
카카오톡·문자 | 친밀한 내용, 은밀한 대화 내역 등 |
사진·동영상 | 호텔 출입, 차량 동승 등의 정황 자료 |
탐정 보고서 | 적법한 수단으로 확보된 경우 인정 가능 |
진술서·제3자 진술 | 지인의 진술, 상대방 고백 등 |
소멸시효와 제척기간
상간자에 대한 위자료 청구권은 부정행위를 안 날로부터 3년, 또는 불법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10년 내에 행사해야 합니다.
인식 기준 | 부정행위 사실과 가해자 인지 시점 기준 |
3년 소멸시효 | 안 날로부터 3년 경과 시 소멸 |
10년 제척기간 | 불법행위 시점부터 10년 경과 시 청구 불가 |
이혼 후 가능 여부 | 이혼 후에도 시효 내면 상간자 소송 가능 |
혼인 파탄 여부와 책임
상간자의 책임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혼인관계가 실질적으로 유지되고 있었음을 입증해야 하며, 이미 파탄된 상태였다면 책임이 감경 또는 배제될 수 있습니다.
파탄 전 부정행위 | 혼인관계 유지 중이면 위자료 인정 가능 |
파탄 후 부정행위 | 혼인 실체가 없었다면 위자료 기각 가능 |
별거 상태 | 별거 중에도 법률혼 관계면 위자료 가능 |
협의이혼 전 | 이혼이 확정되기 전 부정행위는 책임 대상 |
유책배우자의 제소 제한
배우자 본인이 부정행위의 주된 책임자라면, 상간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는 '자기의 책임으로 손해 발생'에 해당합니다.
주된 귀책자 | 본인이 유책 배우자인 경우 제한 있음 |
쌍방 책임 | 양측 모두 책임 있는 경우 위자료 감액 |
선제 귀책 | 자신의 부정행위 후 상대방 불륜이면 인정 어려움 |
불리한 증거 | 역공 가능성을 고려해 신중히 대응 |
공동불법행위와 이혼소송 연계
상간자와 배우자를 공동불법행위자로 묶어 동시에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으며, 이혼소송과 함께 병합해 제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공동책임 | 상간자와 배우자에게 공동으로 손해배상 청구 |
이혼소송과 병합 | 이혼, 위자료, 재산분할 등을 함께 청구 가능 |
강제집행 대비 | 배우자·상간자 자산 파악 필요 |
판결 후 분리 청구 | 이혼 확정 후 상간자 단독으로 제소 가능 |
상간자 소송의 방어 전략
피소된 상간자의 입장에서는 혼인관계 파탄 여부, 인식 부재, 정당 사유, 상대방의 유책 등을 근거로 적극 방어가 가능합니다.
혼인 파탄 주장 | 관계 형성 시 이미 혼인관계가 실질적으로 종료 |
혼인사실 몰랐음 | 기혼 여부를 속인 경우 책임 회피 가능 |
정당방위 주장 | 물리적 폭행 등에 대한 반응 등 |
상호합의 관계 | 부적절 관계가 일방 강요가 아님을 입증 |
형사처벌과의 관계
상간자 소송은 민사소송으로, 형사처벌과는 구분됩니다. 현재 간통죄는 폐지되어 형사책임은 없지만, 일부 경우 형사고소가 병행되기도 합니다.
간통죄 폐지 | 2015년 헌법재판소 판결로 위헌 결정 |
형사 처벌 불가 | 성관계 자체는 형사범죄 아님 |
폭행·협박 등 별도 고소 | 강제성이나 명예훼손이 있으면 형사 고소 가능 |
명예훼손·모욕 | 비방 목적의 SNS 게시물 등은 형사 책임 가능 |
관련 법률 서비스
상간자 소송은 감정적 분노보다 법적 판단 기준에 따라 냉정하게 접근해야 하며, 적절한 증거 수집과 소송 전략이 성패를 가릅니다.
위자료 소송 대리 | 상간자 대상 위자료 청구 소송 전 과정 대리 |
증거 수집 자문 | 합법적이고 효과적인 입증 전략 제공 |
피소 대응 변호 | 상간자로 지목된 경우 맞춤형 방어 전략 제시 |
이혼소송 병합 전략 | 이혼·재산분할과 상간자 청구 병합 진행 |
소멸시효 관련 자문 | 소 제기 가능 여부 판단 및 증거 보전 절차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