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범죄 「절도, 강도, 사기, 공갈, 횡령, 배임, 손괴 등」
본문

재산범죄는 타인의 재산 또는 이익에 피해를 가하는 범죄로, 절도, 강도, 사기, 공갈, 횡령, 배임, 손괴 등이 포함됩니다. 고의적 재산 침해 행위는 형법상 중대한 범죄로 평가되며, 민사상 손해배상과 함께 형사처벌이 동시에 문제됩니다. 피해 회복 여부, 범행 수법, 전과 등에 따라 형량 차이가 매우 크며, 피의자 입장에서는 조속한 합의와 방어 전략 수립이 중요합니다.
절도죄
타인의 재물을 절취한 경우 성립하며, 단순절도부터 야간주거침입절도, 상습절도 등으로 분류됩니다.
구성요건 | 타인의 재물을 몰래 가져감 |
법조문 | 형법 제329조 |
법정형 | 6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
가중처벌 | 야간절도, 주거침입절도, 상습범 등 |
강도죄
폭행 또는 협박으로 타인의 재물을 강취하거나 강제로 이익을 취득한 경우 성립합니다. 강력범죄로 분류됩니다.
구성요건 | 폭행·협박 + 재물 강취 |
법조문 | 형법 제333조 |
법정형 | 3년 이상 유기징역 |
강도치사 | 사망 발생 시 사형 또는 무기징역 |
사기죄
기망행위로 상대방을 착오에 빠뜨려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경우 성립하며, 재산범죄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구성요건 | 기망 + 착오 + 처분행위 + 이익취득 |
법조문 | 형법 제347조 |
법정형 | 10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
상습사기 | 상습적일 경우 가중처벌 가능 |
공갈죄
협박을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재물 또는 이익을 취득한 경우 공갈죄가 성립합니다.
구성요건 | 협박 + 재산상 이익 취득 |
법조문 | 형법 제350조 |
법정형 | 5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
폭력조직 공갈 | 조직 범행은 형량 증가 |
횡령죄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던 자가 불법으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처분한 경우 횡령죄가 성립합니다.
보관 개념 | 위탁·관리·보관 관계가 전제 |
법조문 | 형법 제355조 |
법정형 | 5년 이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 벌금 |
업무상 횡령 | 가중처벌: 10년 이하 징역 |
배임죄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임무를 위배하여 재산상 손해를 가한 경우 배임죄가 성립합니다.
신뢰관계 | 타인을 위한 사무처리 관계가 전제 |
법조문 | 형법 제355조 제2항 |
법정형 | 5년 이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 벌금 |
업무상 배임 | 가중처벌: 10년 이하 징역 |
재물손괴죄
타인의 물건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한 경우 성립하며, 피해자의 재산권 침해가 문제됩니다.
구성요건 | 타인의 물건 + 손괴 |
법조문 | 형법 제366조 |
법정형 | 3년 이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 벌금 |
간접 손괴 | 기계 작동, 인터넷 해킹 등도 포함 |
형량 판단 요소
재산범죄는 피해 금액, 범행 수법, 합의 여부 등에 따라 형량이 달라집니다.
피해 규모 | 금액이 클수록 중형 가능성 증가 |
합의 여부 | 피해자와 합의 시 선처 가능성 높음 |
상습성 | 동종 전과 다수 시 가중처벌 |
범행 방법 | 기획범죄, 조직범죄는 엄벌 경향 |
수사 및 대응 전략
재산범죄 수사에서는 진술, 계좌추적, 디지털 포렌식, CCTV 분석 등이 주요 수단이며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자백 vs 부인 | 자백 시 형 감경 여지 있으나 불이익 유의 |
자료 확보 | 계약서, 문자, 거래내역 등 확보 필요 |
압수수색 | 전자기기, 계좌 등 압수 가능 |
피해 회복 노력 | 합의, 변제 등은 양형에 반영 |
피해자 보호 및 회복
재산범죄 피해자는 형사절차 외 민사 소송, 배상명령 신청 등을 통해 손해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배상명령 | 형사재판 중 법원에 배상 신청 가능 |
민사소송 | 별도 민사소송 제기로 손해 회복 |
가압류 | 피의자 재산에 대한 가압류 조치 |
형사합의 | 합의서 작성 및 공증으로 법원 제출 |
관련 법률 서비스
재산범죄는 민형사 병행 대응이 필요한 복잡한 분야입니다. 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형사처벌 최소화 및 피해회복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습니다.
피의자 형사방어 | 수사 초기 진술 전략, 증거제공, 공소제기 대응 |
피해자 대리 | 형사고소, 배상명령 청구, 민사소송 제기 |
합의 조율 | 피해자와 신속한 합의, 형 감경 유도 |
사건 유형별 자문 | 사기·배임·횡령 등 유형별 맞춤 방어 |
-
Previous Post
June, 19 2025
명예·신용·사생활 침해 범죄 -
Next Post
June, 17 2025
성범죄 「강간, 강제추행,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등」